
목차
비트코인을 어디서 어떻게 사야하는 지 궁금하신가요?
2025년 1월 7일 기준 비트코인의 가격은 1억 5천만원이 되었습니다.
종이 쪼가리도 아닌 형체도 없는 디지털 쪼가리 하나가 1억 5천이라니!
믿기지 않으시죠?
하지만 세계 각국에서 비트코인 및 가상자산에 대한 법률을 만들기 시작하는 것을 뉴스로 접하게 되면 점점 이런 생각이 들기 시작해요.
' 지금이라도 비트코인을 사놓는 게 좋을까? '
사고 싶어도 비트코인을 어떻게 사는 지 몰라서 못 사고 계신 분들도 많으실 것 같습니다.
비트코인 사는 방법은 아주 간단한데요.
초등학생도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알려드릴게요.
어떤 거래소에서 비트코인을 살까?
비트코인을 구매하기 위해서는 거래를 하기 위한 거래소를 정해야 합니다.
업비트 거래소의 코인 시장 점유율이 80%
빗썸 거래소의 점유율이 18%
코인원, 코빗, 고팍스 등 기타 거래소의 합산 점유율은 2% 정도 됩니다.
시장 점유율이 높은 업비트나 빗썸 거래소를 통해 거래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업비트와 빗썸 거래소의 수수료에 대한 정보는 아래 포스팅을 참고 해 보세요.
업비트 수수료 vs 빗썸 수수료, 입출금 하기 전에 꼭 확인 하세요.
비트코인과 같은 가상자산을 거래 할 때 발생하는 수수료가 얼마인 지 궁금하신가요? 2025년 현재 국내 이용자 수가 많은 가상자산 거래소는 업비트와 빗썸인데요. 업비트, 빗썸 거래소의 거래
pdinfo.co.kr
업비트에서 비트코인 사는 방법
1. 케이뱅크 계좌 개설하기
업비트 거래소는 케이뱅크를 통해서만 입금 할 수 있습니다.
케이뱅크 계좌는 은행 방문 없이 스마트폰으로 간편하게 개설 할 수 있어요.
1) 구글 플레이스토어나 앱스토어에서 '케이뱅크'를 검색해서 다운 받고 실행 하세요.
2) 주민등록증 및 운전면허증을 준비하시고 카메라 촬영으로 인증하세요.
3) 다른 은행 계좌 인증 후에 보낸 사람에 표시된 4자리 숫자를 입력하세요.
4) 간편 비밀번호 6자리를 설정 하세요.
위 4단계를 거치면 케이뱅크 가입 및 계좌 개설은 끝입니다.
2. 업비트로 송금하기
케이뱅크 계좌 개설이 되었다면 업비트 거래소로 돈을 보내야합니다.
우선 케이뱅크에 계좌 이체를 하시고 아래 설명 대로 따라 해 보세요.
1) 구글 플레이스토어나 앱스토어에서 '업비트'를 검색해서 다운 받고 실행하세요.
2) 하단 메뉴의 입출금을 누르고 원화 메뉴로 들어갑니다.
3) 추심이체 동의 버튼을 누른 후 2채널 인증(네이버, 카카오톡)을 합니다.
4) 원화 메뉴에서 입금 버튼을 누르고 입금 금액을 입력합니다.
5) 2채널 인증을 하면 입금 금액만큼 케이뱅크에서 업비트로 자동 이체됩니다.
3. 비트코인 매수 및 매도하기
이제 업비트로 입금된 금액으로 비트코인을 사야합니다.
비트코인 뿐만 아니라 업비트에 상장 되어 있는 여러 가상자산 거래도 가능한데요.
업비트 앱 상단 검색 화면에서 '비트코인'을 검색한 후 비트코인을 누릅니다.
여기서 비트코인 매수와 매도를 할 수 있습니다.
지정가는 원하는 가격까지 내려오면 구매가 되도록 걸어놓는 주문입니다.
시장가는 지금 가격으로 바로 구매하는 주문입니다.
지정가, 시장가를 선택 한 후 총액 탭에서 구매할 금액을 설정 해 주면 됩니다.
매수된 비트코인 및 가상자산은 업비트 하단 메뉴에서 '투자내역'을 누르면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국내 가상자산 점유율 1위 거래소인 업비트에서 비트코인 사는 법에 대해 알려드렸습니다.
빗썸이나 다른 거래소도 인증 방식과 입금 방식은 크게 다르지 않으니 포스팅 참고 하셔서 안전한 거래 하시기 바랍니다.
2027년까지 가상자산 과세 유예, 비트코인 세금 얼마를 내야할까?
가상자산으로 수익을 내면 세금을 얼마나 내야 할까요? 기존에는 암호화폐가 자산으로 인정을 받지 못했기 때문에 투자로 수익이 발생했어도 내야 할 세금이 0원이었습니다. 다른 나라들의 가
pdinfo.co.kr